이십대의 끝자락에서 결국 고민하는 것은 "더불어 이웃과 함께 살아가는 것". 더 딱딱히 말하자면 "인간관계"다. 요즘따라 그런 생각이 많이든다. 외줄타기같이 불안하고 걱정스럽고 노심초사하게되는 그런 관계는 백해무익하다. 관계를 "관리"하기 시작할 때, 이미 그 관계는 한계를 지닌다고 생각한다.
진정 더불어 사는 관계란, 진정한 이웃이란, 외줄타기가 아니라 너른 바다를 헤엄치듯 깊고 자유함이 넘치는 것이다. 내가 온전히 나 일수 있는 것이다.
내가 생각하는 친구란, 어디에 있든, 무엇을 하고 살든, 존재 자체로 지지하고 인정해주는 것이다. 그 삶이 혹여 나와 방향이 다르다고 할지라도 있는 그대로 존중해주는 것. 그것이 친구의 몫이자 도리이다.
오늘 나는 카카오톡 단체톡방 십여개를 삭제했다. 그러나 결코 내 주변의 수 많은 관계와 작별한 것이 아니다. "카카오톡 단체톡방으로" 관계를 이어가고 관리하는 내 모습으로부터 벗어나기로 선언한 것이다.
내 주변을 좀 더 소중히 돌보려한다. 단체톡만을 의지한 관계의 연명이 아닌, 주도적이고 적극적으로 서로를 기억하는 행동으로서의 관계를 지속하고 싶다.
매일 쌓여가는 수십통의 수다가 아닌, 일년의 단 한번뿐이더라도 진심으로 눈을 맞추며 포옹하며 악수하는 진한 관계이고 싶다.
그게 29세의 강진영이 결정한 인간관계이다.
진정 더불어 사는 관계란, 진정한 이웃이란, 외줄타기가 아니라 너른 바다를 헤엄치듯 깊고 자유함이 넘치는 것이다. 내가 온전히 나 일수 있는 것이다.
내가 생각하는 친구란, 어디에 있든, 무엇을 하고 살든, 존재 자체로 지지하고 인정해주는 것이다. 그 삶이 혹여 나와 방향이 다르다고 할지라도 있는 그대로 존중해주는 것. 그것이 친구의 몫이자 도리이다.
오늘 나는 카카오톡 단체톡방 십여개를 삭제했다. 그러나 결코 내 주변의 수 많은 관계와 작별한 것이 아니다. "카카오톡 단체톡방으로" 관계를 이어가고 관리하는 내 모습으로부터 벗어나기로 선언한 것이다.
내 주변을 좀 더 소중히 돌보려한다. 단체톡만을 의지한 관계의 연명이 아닌, 주도적이고 적극적으로 서로를 기억하는 행동으로서의 관계를 지속하고 싶다.
매일 쌓여가는 수십통의 수다가 아닌, 일년의 단 한번뿐이더라도 진심으로 눈을 맞추며 포옹하며 악수하는 진한 관계이고 싶다.
그게 29세의 강진영이 결정한 인간관계이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인을 위한 기도. (0) | 2018.07.23 |
---|---|
달리지 않는 기차 (0) | 2018.07.22 |
오래전부터 (0) | 2018.07.22 |
짙은 밤. 무엇으로 살까. (0) | 2018.07.16 |
나를 돌아본다. (0) | 2018.06.20 |
독립책방으로 수익내기 첫달. (0) | 2018.06.06 |
벌 수 있을 때 벌자 (0) | 2018.06.05 |
불꽃페미액션 상의탈의 퍼포먼스에 대해 (0) | 2018.06.03 |
실외기 뒤에 사는 길냥이 꿈이 이야기. (0) | 2018.05.31 |
길고양이 못생겼다고 놀리지 마세요. (0) | 2018.05.27 |